달력

4

« 2024/4 »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  • 29
  • 30
2009. 11. 26. 18:58

태안 기름유출 ISSUE2009. 11. 26. 18:58

해경 `크레인선에 더 큰 책임` [중앙일보]

-중간 조사결과 발표-

 

 


 

 

사상 최악의 해양 오염을 일으킨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사고가 엿새째로 접어들면서 사고의 윤곽도 드러나고 있다.

이번 사고의 논란은 크게 세 가지다. ▶삼성중공업 예인선이 풍랑주의보에서 무리하게 운항했나 ▶대산지방 해양수산청 관제실과 예인선 및 유조선의 교신은 왜 지체됐나 ▶관계자들이 안일하게 대처했는가이다.

현재까지의 경찰 조사 결과 이런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.

해경 관계자는 "풍랑주의보가 내려진 상태에서 무리하게 운항한 데다 교신 실패와 관계자들의 안일한 판단이 겹친 인재로 판단된다"고 말했다.

해경은 우선 예인 선단이 이번 사건에 큰 책임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. 최상환 해양경찰서장은 12일 브리핑에서 "충돌을 피하려는 책임은 모두에게 있지만 서 있는 차를 움직이는 차가 들이받으면 당연히 과실은 움직이는 쪽이 큰 것"이라고 말했다. 그는 "어느 쪽의 과실이 더 큰지는 앞으로 수사를 하면 드러날 것"이라고 말했다.

그동안 예인 선단과 관제실을 조사해 온 해경은 이날부터 유조선 관계자를 조사하기 시작했다. 검찰도 내사에 착수했다.

 


 

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피해를 완전 복구하려면 최소 10년 이상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.

 

 

기사 출처: http://news.joins.com/article/aid/2007/12/13/3030920.html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참고1) -태안 원유덩어리 태우면 안되는 이유-

 

 

 

 

‘기름에 젖은 모래나 갯벌을 걷어내면 안될까.’ ‘바닷물에 떠 있는 원유를 태워버리면 안되나.’

검게 변한 충남 태안 해안가에서 수만 명이 기름덩어리를 일일이 손으로 걷어내는 모습을 보게 되면 한번쯤 답답한 마음에 떠올릴 법한 생각이다.

그러나 전문가들의 생각은 다르다. 이 같은 수처리 작업이 가장 효율적이고 일반적일 뿐 아니라 안전성과 환경성까지 검증된 방법이라는 것이다.


 

 

 

 

우선 바다 위에 떠있는 원유는 쉽게 불에 타지 않는다. 흔히 사막 위 원유생산시설 꼭대기에서 타오르는 불꽃을 연상하겠지만 이것은 원유가 아닌 가스를 태우는 것이다.

한국해양연구원 최혁진 박사는 “차가운 바닷물 위에 떠 있는 원유 덩어리는 휘발성 물질을 첨가해야 불이 붙는다”며 “원유를 태울 경우 독성 가스가 방출되면서 심각한 대기오염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”고 말했다.

또 원유가 타고 남은 찌꺼기는 바닷속에 가라 앉거나 대기 중에 부유하면서 심각한 2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.

더구나 원유 소각은 법적으로도 허용되지 않는다. 폐기물 소각으로 인한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 제정된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, 지정폐기물의 경우 지정된 업체가 허용된 소각시설에서만 태울 수 있다. 환경부 관계자는 “원유를 빨아들인 흡착포 등을 함부로 태울 수 없는 이유와 같다고 보면 된다”고 말했다.

기름이 스며든 모래사장과 갯벌을 완전히 걷어내는 것은 어떨까. 실제 다량의 기름에 오염된 모래사장 등을 그라인더나 유류 수거용 트랙터로 긁어내는 방제 기술이 있다.

하지만 환경보호론자들 사이에서도 이 기술의 효과를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. 기름에 오염된 표층을 걷어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각과, 그런 작업 자체가 갯벌과 모래 속의 다양한 생태 시스템을 파괴하고 미생물까지 없애 버려 자연이 가진 정화력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 것이다.

오염지역의 철저한 정화를 위해 미생물을 활용하는 방법은 ‘환경친화적 방제법’으로 쉽게 떠올릴 수 있다.
오염 지역에 기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대량 살포하거나 기존 미생물의 분해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 질소나 인 등을 대량 투입하는 ‘생물정화법’이 그것이다. 이 방법은 실제 1989년 알래스카에서 일어난 엑손 발데스호 기름 유출 사고 때부터 사용됐다.

그러나 해수부 관계자는 “외래 미생물에 의한 기존 생태계 교란과 과도하게 활성화한 미생물이 생태계에 미칠 영향 등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”고 말했다. 95년 여수에서 발생한 씨프린스호 기름 유출 사고 당시에도 이 방제법이 고려됐지만 같은 이유로 사용되지는 않았다.

한편 네티즌들은 실현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기발한 방제법을 제시해 눈길을 끌고 있다. 태안군청 홈페이지에는 ‘굴착기로 백사장을 깊이 파고 방수포를 깔아 기름 섞인 바닷물을 모은 뒤 펌프로 퍼내자’ ‘모래를 빨아올리는 바지선의 석션(suction)을 이용하자’ ‘흡수력이 뛰어난 오리, 거위, 닭 털을 이용하자’는 제안이 올라 있다.

방제센터 관계자는 “대부분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들이지만 일부 제안은 실행 방안을 강구해 보겠다”고 말했다.

 

 

기사출처: http://www.cbs.co.kr/nocut/show.asp?idx=694304

:
Posted by 해토머리